제목 | 기독대학생의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노인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영적 안녕감과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영문 제목 | The Effect of the Home Self-esteem on the Attitude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in Christian College & University Students - centering around Spiritual Well-being and Anxiety as Mediators - |
저자 |
전요섭 (성결대학교) |
다운로드 |
10.전요섭-편집.pdf
(526 KB)
|
논문 구분 | 일반논문 | 가정사역
발행 기관 |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
발행 정보 | 제17권 3호 (통권 52호) |
발행 년월 | 2012년 09월 |
국문 초록 | 이 연구는 기독대학생의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노인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영적 안녕감과 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갖는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4개 대학에 재학중에 있는 학생과 10개 교회에 출석하는 대학생 총 432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분석은 SPSS 19 통계 프로그램과 AMOS 7.0을 이용하여 측정모형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두 가지 연구문제를 제기했다. 첫째, 기독대학생의 가정적 자아존중감은 노인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기독대학생의 가정적 자아존중감과 노인 부양의식 간의 관계에서 영적 안녕감과 불안은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부양의식에는 가정적 자아존중감, 영적 안녕감, 불안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적 안녕감(r=.348, p<.001)의 상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정적 자아존중감과 불안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불안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노인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적 안녕감과 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가정적 자아존중감은 영적 안녕감(.386, p<.001)과 불안(-.146, p<.01)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 가정적 자아존중감은 노인 부양의식에 직접적 영향(8.082, p<.001)과 간접적 영향(1.218, p<.001) 모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노인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적 안녕감과 불안이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가정적 자아존중감이 노인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적 안녕감과 불안이 매개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노인 부양에 대한 사회적 문제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자라나는 청소년들로 하여금 가정적 자아존중감을 충분히 갖도록 부모의 적절한 양육과 돌봄을 준다면 노인 부양에 대한 사회적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겠고, 자녀를 신앙 안에서 절대자와의 수직적 관계와 자신, 이웃, 환경과의 수평적 관계의 조화를 이루도록 양육하는 것이 노인 부양의식을 높이는 길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 연구는 가정적 자아존중감과 노인 부양의식 간 관계에서 영적 안녕감과 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것으로 기독대학생의 노인공경 및 효도에 대한 개인상담, 가족상담에 대한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
영문 초록 |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me self-esteem of Christian college & university students and the attitude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and the effects of the spiritual well-being and anxiety as mediating agents on them. The participants are 432 student of four colleges and univeristy students & of 10 churches.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19 and AMOS 7.0.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home self-esteem, spiritual well-being and anxiety on the attitude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Especially, the spiritual well-being(r=.348, p<.001) has the highest correlation to the attitudes of supporting the elderly. Also the home self-esteem and anxiety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lower the spiritual anxiety level. Second, all the demographic variable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assurance of personal salvation. Most of the participants claimed that they had the assurance of salvation, but some who do not have the assurance of salvation shoed significantly high level of spiritual anxiety. Third, there was significant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and anxiety as mediating agents on the attitudes of supporting the elderly. The result shows that self-esteem affect significantly both on spiritual well-being(.386, p<.001) and anxiety(-.146, p<.01). Also, the self-esteem affected on the attitude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both directly(8.082, p<.001) and indirectly (1.218, p<.001). This result tells us that spiritual well-being and anxiety have significant effect as mediating agents in terms of the effect of self-esteem on the attitude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Fourthly, the researcher ran the multi-group analysis to see if there was any difference in structural shape according to one’s personal assurance of salv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ose who had the assurance of salvation showed higher correlation between the home self-esteem and the attitude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than those who did not have the assurance of salvation. In most variables, those who had the assurance of salva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demographical analysis in genera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gives meaningful data for the personal and family counseling for the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home self-esteem, attitude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their spiritual well-being and anxiety. |
키워드 | 기독대학생, 가정적 자아존중감, 노인 부양의식, 경로, 효, 영적 안녕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