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본 통일교육의 방향
영문 제목
저자 소한나 (성균관대)
다운로드 pdf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본 통일교육의 방향 _소한나.pdf (159 K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교육학
발행 기관 춘계학술대회
발행 정보 (통권 20호)
발행 년월 2013년 06월
국문 초록 서론
지난 2000년 6월 15일 평양에서 개최된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단절된 남북한의 관계에도 한줄기 희망이 비취는 것으로 보였다. 10여년이 지난 지금 매체를 통해서 전해지는 남북관계는 낙관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남한을 비롯하여 세계에도 위협을 가하는 내용들뿐이다. 남북한의 정권이 작년과 올해에 걸쳐 각각 새로이 출범함으로써 양측의 관계를 재설정하려는 정부적 차원의 과도기적 현상으로 보일 수 있지만, 현 시점으로 판단하기에는 한반도의 화해와 협력, 평화 공존으로 가는 길이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통일의 희망도 장밋빛 환상에 불과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이러한 한반도의 중요한 이슈인 남북한 문제에 대해서 학생들은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있을까? 더 나아가 통일에 관련되어 그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교육의 결과로 나타나는 학생들의 통일의식을 보면, 대부분의 조사결과에서 나타나듯이 통일에 대한 무관심과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오기성, 2012: 8). 이처럼 분단의 역사가 시작된 지 60여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 대부분의 학생들의 인식에 통일문제는 대수롭지 않은 문제로 전락되기 시작했다. 학창시절 학교에서 불렀던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란 노래도 과거의 희망사항에서 더 발전하거나 진보되지 못한 채 추억의 노래로 남아 있는 듯이 보인다.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고 함께 불렀던 그 노랫말처럼 우리의 소원은 진정 남북한 통일이며 그에 합당한 통일 교육을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일까?
이러한 부정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통일교육을 바라보아야 하는 이유는 6.25전쟁을 통하여 경험했듯이 평화적인 방법 외에는 전혀 다른 사상을 가진 두 국가는 충돌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구나 60여년이 흐른 지금은 더욱더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남북한의 관계가 여러모로 심각한 현 시점에서 학교의 통일교육의 방향과 실태를 파악하며 앞으로 남북한의 관계를 평화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통일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에 있어서 월터스톨프가 주장하는 평화교육의 관점이 통일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하나의 기준으로써 제시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월터스톨프가 주장하는 평화교육의 정의(definition)를 살펴보고 평화교육의 관점에 의거한 통일교육의 방향을 고찰해 보자.
영문 초록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