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은유적 이야기 교육과 치료에 관한 사례 연구 - 부모의 양육태도 개선을 중심으로 -
영문 제목
저자 임춘택 (경남대 교수)
다운로드 pdf 8992 [교육] 임춘택(경남대) [논문] 은유적 이야기 교육과 치료에 관한 사례 연구 -부모의 양육.pdf (213 K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세계관기초
발행 기관 춘계학술대회
발행 정보 (통권 21호)
발행 년월 2014년 05월
국문 초록 Ⅰ. 서론
Ⅰ.1. 연구 필요성과 선행연구
국내에서도 10년 넘게 인문치료1)와 관련한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 방법
으로는 문헌중심연구가 지배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드물게 실제 치료 사례를 제시하는 경
우도 있다. 그 예로 몇몇 문헌중심연구들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문학텍스트에 나타난 인물
의 병리적인 모습을 병리학, 정신분석학, 문예학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들(오동식, 2009; 도기
숙, 2010 외 다수), 특정 문학텍스트를 예로 들어 인물들의 병리 현상을 진단하고 치료 기능
으로써의 문학(인문학)의 기능 및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채연숙 외, 2008), 독일 사회의
병리적 사례를 독일문화와 문학의 특징과 연관하여 분석하고 한국의 문학치료 연구와 실제의
정착을 모색한 경우(채연숙, 2011), 작품 내의 인물이 특정 문학을 접함으로써 문제 개선과
치료가 이루어졌음을 제시한 예(이민용, 2009), 치료사가 문학텍스트를 활용하여 내담자를 치
료한 사례를 담은 문헌을 소개한 연구(노환홍, 2010), 문학의 치료적 기능을 분석하고 우울증
과 관련한 치료의 일부 과정을 제시한 연구(변학수 외, 2006), 은유 개념부터 은유의 치료 기
능에 관한 논문(이민용 2010) 그리고 문학, 독서, 글쓰기, 이야기,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개념
과 방법을 활용한 인문치료에 관해서는 이민용의 다수의 연구가 있다. 이외에도 문학치료에
관한 연구들이 위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심도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위의 연구들과 본 연구와의 차이점은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인문교육과 치료 차원에서 사례
중심 연구를 인문학을 전공한 연구자 역량에서 치료 수준과 방법을 설정하여 진행한다는 점이
다. 인문치료는 문헌연구뿐만 아니라 질적 연구방법 등을 활용하여 실제 치료 과정과 방법에
관한 사례도 제시하고 그 효과 등도 검증되어야 하는 분야에 속한다. 따라서 문학텍스트를 중
심으로 한 정신분석, 병리진단, 심리기제 등에 관한 연구들 외에도 문학을 활용한 실제 치료
또는 교육과 치료를 병행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이론과 실제 간의 조화를 이루게 된다. 물론
문헌중심연구에 익숙한 문학전공자가 임상의 상담심리치료 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연구자의 의
도와 취향 문제를 위시하여 질적 연구, 양적 연구와 같은 연구 방법론 활용, 교육과 치료 대
상자 관리와 돌봄 문제, 상담심리치료에 관한 이해와 교육 등 해결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그
러나 일련의 은유, 독서, 글쓰기, 이야기, 내러티브 등과 같은 인문교육과 치료만의 영역과 인
문학자로서의 전문성을 치료 방법과 장점으로 삼고, 이것에 비중을 두어 치료과정을 진행하는
방법을 채택한다면 수월한 연구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와 교육
을 통해서도 정신과 전문의의 치료나 상담심리학 전문가의 치료보다도 방법 면에서 훨씬 다양
하고 창의적이며, 효과 면에서도 높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내담자에게 본질적인 변화를 일
으킬 수도 있을 것이다.2)
본 연구는 앞서 나열한 인문치료 연구들 가운데서도 은유, 이야기, 스토리텔링, 내러티브 개
념과 관련한 연구이고 이것들을 치료 도구로 삼아 진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론에 들어가
기 전에 미리 연구의 주요 기저가 되는 학자와 이들의 자료들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언
어학자 조지 레이코프 George Lakoff와 철학자 마크 존슨 Mark Johnson이 일상적 삶에서
의 은유 사용에 관해 폭넓게 다룬 『삶으로서의 은유 Metaphors We Live By 』3); 독문학자 이
민용의 ‘은유의 치료적 기능과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4) 및 ‘이야기와 스토리텔링의 치유
적 기능, 인문치료와 이야기치료를 천일야화를 중심으로 논의한 연구’ 외 다수의 연구; 실제
은유 교육과 치료를 위해서는 심리치료사인 밀턴 H. 에릭슨 Milton H. Erickson의 치료 사
례를 중심으로 기술한 이윤주 · 양정국의 『밀턴 에릭슨 상담의 핵심 은유와 최면』5); 이야기치
료의 현존하는 대가인 심리치료사 조지 W. 번즈 George W. Burns의 편저서 『이야기로 치유
하기 –치료적 은유 활용 사례집- Healing with Stories: your casebook collection for
using therapeutic metaphors 』6)와 또 다른 그의 저서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마음을 치
유하는 101가지 이야기 101 Healing Stories for Kids and Teens: Using Metaphors in
Therapy 』 그리고 도리스 브렛 Doris Brett의 『은유적 이야기치료 Therapeutic Storytelling
Technique』를 실제 교육과 치료를 위해 면밀히 검토하였다. 은유의 개념적 · 기능적 차원의
고찰과 은유의 치료 도구적 기법에 관한 문헌 외에도, 인간 삶의 본질적인 문제를 정신과 치
료 사례와 함께 다룬 M. 스캇 펙 M. Scott Peck의 저서들 『거짓의 사람들 People of the
Lie: The Hope for Healing Human Evil 』, 『아직도 가야 할 길 The Road Less Travele
d 』, 『그리고 저 너머에 The Road Less Traveled And Beyond 』; 심리학과 상담심리치료가
인간의 자아를 지나치게 절대 시 한다는 점을 심도 있게 비판한 폴 비츠 Paul Vitz의 『신이
된 심리학 Psychology as Religion 』, 『무신론의 심리학 Faith of the Fatherless The
Psychology of Atheism』을 연구자의 연구 활동 및 연구 내용의 기저를 이루는 권위적인 자
료로 수용하였다.
영문 초록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