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기독교사회복지의 상황화 논의에 대한 연구
영문 제목
저자 김광병 (청운대 교수)
다운로드 pdf 김광병(청운대)_기독교사회복지의 상황화 논의에 대한 연구.pdf (374 K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세계관기초
발행 기관 기독학문학회
발행 정보 (통권 31호)
발행 년월 2014년 11월
국문 초록 Ⅰ. 서론
우리나라에서 기독교사회복지 접근은 사회복지학 분야에서 먼저 시도 하였고
점차 신학분야로 확장되어가고 있다.
그렇다 보니 기독교사회복지와 관련한 연구도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진행되
어 왔다. 하나는 사회복지학자 또는 기독교사회복지학자 중심으로 기독교사회복
지의 개념과 실천적 접근(유장춘, 2011; 양혜원, 2007; 박종삼, 2004) 다른 하나는
신학자 중심으로 기독교사회복지에 대한 신학적 접근 즉, 사회복지신학 정립(양
찬호, 2011; 김은수, 2006)을 통한 기독교사회복지의 정당성 확보가 바로 그것이
다. 이에 따라 기독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천이 어느 정도 발전되어 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그 핵심은 선교적 접근으로서 사회복지를 이해하고(이성곤․허준수,
2014; 박일연․노길희, 2013; 김은수, 2006; 박종삼, 2004) 교회의 사명이자 하나
님의 일(양찬호, 2011; 김은수, 2006)로 보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틀리지 않고
기독교사회복지를 잘 대변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표면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기독교사회복지는 일반사회복지
와 어떤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지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선행연구들은 기독교
사회복지의 개념을 규정하고 특성을 논하지만, 실상은 그러한 논리들이 현장에
접목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접근은 현대사회에서 사회복지가 제도화 되어 실천되고 있다는
상황을 간과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제도화 되어 있지 않은 과거의 상황에서 볼
때에는 이러한 접근들이 별 문제 없이 받아들여질 수 있지만, 현재의 사회복지
관련법의 관점에서는 위법성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의 제도화된 사회복지 환경에서 기독교사회복지를 재해
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상황화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기독교사
회복지의 개념에 담긴 의미를 찾으며 기독교사회복지가 처한 상황인 제도화된
사회복지의 근간으로서 사회복지관련법 내용을 살핀 후 극복해야 할 요소와 그
에 따른 바람직한 상황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