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청각장애 자녀를 둔 청각장애인 어머니와 건청인 어머니의 양육경험 연구 |
---|---|
영문 제목 | A Study on the Nurturing Experience of Hearing-impaired Mother and Hearing Mother Who Both Have Hearing-impaired Child |
저자 |
모상근 (Sang-Geun Mo) (총신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강사) |
다운로드 |
(수정)06모상근(편집).pdf
(705 KB)
|
논문 구분 | 일반논문 | 가정사역
발행 기관 |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
발행 정보 | 제21권 1호 (통권 66호) |
발행 년월 | 2016년 03월 |
국문 초록 | 본 연구는 청각장애 자녀를 둔 청각장애인 어머니와 건청인 어머니의 양육경험을 질적 연구방법에 의해 심층인터뷰를 촬영과 녹음으로 기록하고 전사하여 코딩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청각장애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의사소통방식이 다른 두 어머니의 청각장애 자녀에 대한 양육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전사와 코딩을 통해서 의미단위 340개, 하위범주 107개, 범주 9개로 전체 내용을 관통하는 핵심범주 4개를 찾아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건청 어머니보다 청각장애인 어머니의 경우가 자녀의 청각장애를 수용하는 시간이 더 짧았다. 둘째, 청각장애인 어머니와 건청인 어머니의 의사소통 방식의 선택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어머니 중심의 양육태도에서 청각장애 자녀중심의 민주적인 양육태도로 전환되었다. 넷째, 청각장애 자녀를 둔 청각장애인 어머니와 건청인 어머니는 양육에 대한 부담이 청각장애 학교 기숙사를 통해 해소되는 측면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두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대한 연구기간과 확보된 자료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이 있지만 청각장애 특성상 연구자와 의사소통의 어려움 때문에 청각장애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진행한 경우는 매우 드물어서 연구대상의 폭을 넓히고, 청각장애아 출현의 적극적인 대처에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
영문 초록 | This study is about the nurturing experience of hearing-impaired mother and hearing mother who both have hearing-impaired child. They have gone through the process of qualitative research with the depth interviews by way of filming and transcribing by documentary record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how is the nurturing experience of a mother for hearing impaired child? Second, how is the nurturing experience of the two mothers who have the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With the 340 significant units, the 107 subcategories and the 9 categories, the 4 core categories which penetrate the entire contents were identified. First, hearing impaired mother spent shorter time to accept her child’s hearing impairment than hearing mother.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election of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hearing impaired mother and hearing mother. Third, the mother-centered nurturing attitude converted to hearing impaired child-centered democratic nurturing attitude. Fourth, through the hearing impaired school dormitory, the solution for the burden of nurturing both the hearing-impaired mother and hearing mother who has hearing impaired child was identically shown. Although the study period and confirmed date about the nurturing experiences of the two mothers is limited because of the difficulties of hearing impairment peculiarities in communication with researcher, it is very rare to proceed a study about hearing impaired mother as a subject.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the expansion of the range of research subjects and as a fundamental data for the positive treatment of the hearing impaired child’s appearance. |
키워드 | 청각장애, 의사소통, 양육경험, 청각장애 자녀, 청각장애 부모, nurturing experience, hearing-impaired, communication, hearing- impaired moth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