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영문논문) 네덜란드의 기독교 교육철학에 관한 역사적 고찰 |
영문 제목 |
(영문논문) Research on the Christian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e Netherlands: a historical approach |
저자 |
최용준 (Yong Joon (John) Choi) (한동글로벌대학교 에디슨글로벌학부 교수)
|
다운로드 |
FS21(2) 009(최용준) Research on the Christian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e Netherlands a historical approach.pdf
(518 KB)
|
논문 구분 |
일반논문 |
교육학 |
발행 기관 |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
발행 정보 |
제21권 2호 (통권 67호) |
발행 년월 |
2016년 06월 |
국문 초록 |
본 논문은 네덜란드의 기독교 교육철학에 관한 역사적 고찰이다. 이를 위해 먼저 기독교 교육철학의 목적을 간략히 논의한다. 그 후 네덜란드 교육의 역사를 개관하면서 그 교육 철학을 네 가지 단계로 나누어 분석한다. 첫 단계는 16-17세기에 네덜란드가 스페인의 압제에서 독립한 후 추구했던 칼빈주의적 교육 철학을 살펴본다. 개혁교회 지도자들이 이 기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두 번째로는 18세기 프랑스가 네덜란드를 지배하면서 계몽주의에 의해 국가의 주도로 이루어진 공립학교 중심적 교육 사상에 대해 논의한다. 하지만 이러한 철학은 사실상 공적 영역에서 인본주의를 더욱 증진시켰다. 세 번째 단계로는 이러한 계몽주의적 근대주의에 대항하여 19세기부터 신칼빈주의자들이 일으킨 ‘학교 투쟁’ 및 기독교 사립 교육 철학에 대해 서술한다. 그들은 사립학교들을 통해 기독교 교육을 회복하려 했으며 동시에 정부의 지원을 받으려고 노력했다. 마지막으로는 20세기 후반 이후에 포스트모더니즘에 의해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다원주의에 대해 고찰한다. 그 후 이러한 흐름 속에서도 기독교적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프라이허막트(vrijgemaakte) 교단의 개혁주의 학교교육의 예를 살펴본 후 이러한 고찰이 한국의 기독 교육에 어떤 함의를 주는지 고찰함으로 결론을 맺는다.
|
영문 초록 |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hristian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e Netherland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First, the purpose of Christian philosophy of education is briefly discussed. After that, the history of Dutch education is briefly surveyed and is categorized into four different types and stages. The first stage is in the 16-17th centuries where Calvinism was dominant in education after achieving independence from Spanish rule. Reformed church leaders played a crucial role in this period. The second part is the 18th century when France ruled the Netherlands with ideas of the Enlightenment which introduced public school system by the state. However, this philosophy actually promoted humanism in the public sphere. Thirdly, the so called ‘school struggle’ initiated by the neo-Calvinists such as G. Groen van Prinsterer and A. Kuyper is dealt with. They have tried to restore Christian education through private schools and to receive the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Fourthly, pluralism since the second part of the 20th century is explained due to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After that, one case study of the ‘vrijgemaakte reformed school’ which tries to preserve the Christian identity ends the main body. Finally, a conclusion is drawn by suggesting the lessons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for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키워드 |
Dutch Christian Education, Calvinism, Enlightenment, Neo-Calvinism, Pluralism/ 네덜란드 기독교 교육철학, 칼빈주의, 계몽주의, 신칼빈주의, 다원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