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하브루타를 적용한 실천적 지식 학습 모형 개발
영문 제목 A Study on Development of Havruta-based Learning Model for Practical Knowledge
저자 김보경 (Bo Kyeong Kim)
다운로드 pdf 신앙과학문 24(3) 김보경.pdf (0.98 M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기타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24권 3호 (통권 80호)
발행 년월 2019년 09월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도의 일상의 콘텍스트가 배제된 채 지식전달 중심의 일회적 성경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그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성도 또는 학습자가 주도하여 텍스트를 해석하고 자신을 향한 하나님의 계시를 발견하여 일상의 콘텍스트에 적용할 수 있는 하브루타를 적용한 실천적 지식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형성적 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는데, 이론적 고찰을 통해 모형에 반영될 요소와 학습원리를 도출하여 초기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적용하여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 사례 두 가지를 개발하였으며,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와 전문가 피드백을 통해 모형을 수정하여 최종 모형을 도출하였다. 하브루타를 적용한 실천적 지식 학습 모형은 순환적인 발달을 지향하는 학습 모형이며, 겉으로 드러나는 학습활동과 학습자 내면의 인지적 활동의 중층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모형을 통해 말씀이 성도의 삶 속에 실천으로 연결되게 되면 다양한 경로로 받게 되는 말씀들이 연결되어 이해되는 계시의 연속성을 경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모형은 실천지식을 스스로 발견하고 실행하는 완전한 자기주도 학습모형으로 말씀이 개인의 삶에서 실천의 영역까지 가기 위해서는 시간적 배려를 필요로 한다. 이 모형은 기존의 주입식 또는 일회적 성경교육 프로그램의 재설계에 활용할 수 있으며,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질문생성 전략에 대해 사전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at there have been problems of one-time bible education focusing on transferring knowledge without her or his daily contexts of a Christian. Thus, this study has attempts to find an alternative. This study has aimed at developing a Havruta-based practical knowledge learning model, with which a Christian or a learner has her or his quiet time and find God’s revelation and apply the message to her or his everyday life.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s a formal research method, and the initial model has been developed by deriving the factors and learning principles to be reflected in the model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addition, two learning cases have been developed for adult learners by applying this method. Through this process, the final model has been obtained by modifying the previous model through learners and experts’ feedbacks. The havruta-based practical knowledge learning model is one for cyclical development, which forms a middle layer of seemingly revealing learning activities and inner cognitive activities of learners. This model could be experienced through continuity of revelation through words that are received in various ways when God’s words are connected to practice. It would take time for God’s words to move from a Christian or learner’s life to her or his realm of practice, because this model is a fully self-directed learning model in which she or he could find and implements knowledge of practice by herself or by himself. This model could be used to redesign existing cramming Bible education programs, and it is necessary to educate about role of facilitator and questions-making strategies.
키워드 실천적 지식, 일상학습, 실천적 성경교육, 하브루타, 형성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