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국내 홈스쿨링 관련 연구 동향분석 |
---|---|
영문 제목 | Analysis on Homeschooling Research Trends in Korea |
저자 |
김현숙 (Hyun-Suk Kim) 정희영 교신저자 (Hee-Young Jeoung) |
다운로드 |
신앙과학문 25(1) 김현숙.pdf
(1.44 MB)
|
논문 구분 | 일반논문 | 세계관기초
발행 기관 |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
발행 정보 | 제25권 1호 (통권 82호) |
발행 년월 | 2020년 03월 |
국문 초록 | 본 연구는 국내 홈스쿨링 연구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여 국내 홈스쿨링의 연구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1999년부터 2019년 8월까지 발표된 총 82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의 시기, 발표기관 및 종교, 대상, 방법, 주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홈스쿨링 관련 연구는 2005년 이후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으며, 2015년 이후 다시 증가 추세이다. 종교 관련 연구는 기독교 관련 홈스쿨링 연구만 23편(28%) 이루어졌고 타 종교관련 연구는 없었다.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대학은 총신대이며, 학회는 한국비교교육학회이다. 대상으로는 인적대상이 많이 연구되었으며 그중 부모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연구주제는 설립운영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그 중 법과 제도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를 통한 결론은 첫째, 의무교육의 범위와 교육형태에 대한 정립을 통해 학교교육과 홈스쿨링이 서로 보완· 상생· 협력하는 관계로 전환되어야 한다. 둘째, 홈스쿨링의 교육적 질을 상승시킬 수 있는 최적의 가정환경에 대한 연구를 통해 홈스쿨링 환경구성의 원리가 정립되어야 한다. 셋째, 다양한 연구방법을 사용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홈스쿨링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증가되어야 하며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
영문 초록 |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domestic homeschooling research in total of 82 theses published from 1999 to August 2019 on the timing, publishing organizations, religions, subjects, methods, and topics of domestic homeschooling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homeschooling-related research has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since 2005, and has been increasing again since 2015. Religion-related research consisted of only 23 Christian homeschooling researches(28%), and no other religion-related research. The university with the most research was Chongshin University, and among academic societies, KCES. Human subjects were much researched, and among them, parents were the most researched. As for research methods, literature research was the most frequently done. For research topics, the most researched topics were foundation and operation, among which, laws and institutions were the most researched.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First,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nd domestic homeschooling should be re-established the relationship as a process of coexistence, supplementation and cooperation through defining the range of compulsory education and the forms of education. Second, the principle of the environmental elements about domestic homeschooling should be established by researching the optimal environments that will be able to enhance the educational qualities of domestic homeschooling. Third, it is needed to continue researching different kinds of methods of the studying about domestic homeschooling. Fourth, it will be expanded the study of domestic homeschooling curriculum and be developed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
키워드 | 홈스쿨링, 교육, 연구동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