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기독대안학교 교사 양성과 재교육 시스템의 변화 방향 |
---|---|
영문 제목 | Direction of Teacher Training and Re-education System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
저자 |
김 성 천 (Seong Cheon Kim) (한국교원대학교(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조교수) |
다운로드 |
002 신앙과 학문 25-3 김성천(페이지 37-75).pdf
(783 KB)
|
논문 구분 | 일반논문 | 교육학
발행 기관 |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
발행 정보 | 제25권 3호 (통권 84호) |
발행 년월 | 2020년 09월 |
국문 초록 | 이 논문의 목적은 기독대안학교 교사의 양성과 재교육 시스템의 변화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7개교 331명의 기독대안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독대안학교에서 근무를 하고 있거나 근무 경험을 지닌 8인 교원과 관련 분야 3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 분석결과, 대안학교 교사가 되기 위한 양성과정의 체계화에 관한 요구가 있었으나 기존의 교·사대에 의해서 길러지는 방식보다는 기독대안교육 관련 연합회가 주관하는 방식을 선호하였다. 한편, 교·사대와 같은 교원양성과정과 공교육 교사 경험이 대안학교 교사의 직무 수행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공교육 근무경험을 지닌 집단들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격증, 교원양성과정, 공교육 경험에 대해서 다소 부정적 평가를 하였다. 이는 기독대안학교는 공교육과 다른 문화와 체제가 작동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교원양성과정 및 교육 재교육 프로그램에서는 기독교세계관과 소명의식, 교육과정-수업-평가 전문성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다. 면담 분석결과, 기독대안학교는 공교육에 비해서 교사의 성장을 자극하는 환경이 존재하는 의견과 열악한 조건에 의해서 우수 인력이 유출되어 성장이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견해가 동시에 제기되었다. 면담자들은 기독대안학교 교사에게 필요한 전문성과 자질로서 기독교 세계관을 통합한 교과통합능력, 변혁성, 영성과 인성, 소명의식, 교사 전문성, 대인관계 능력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독대안학교 교사들의 현장 적응의 난점 요소를 개인과 학교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교·사대교육과정과 공교육 교사 경험이 기독대안학교 교사에게 필요한 기본기를 쌓게 한다는 점에서 도움이 되지만, 경직된 사고와 인식을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 기독대안학교의 특수성을 고려한 교원양성방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적용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영문 초록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hange in the education and re-education system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331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from 27 schools.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eight teachers who are working at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or had working experiences and three experts in related fields. The results of the survey analysis are as follows: there was a demand for systematization of the training course to become an alternative school teacher, organized by the Christian Alternative Education Association rather than by the existing teachers' group.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the experience of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working experience in public education helped teachers at alternative schools perform their duties. However, groups with experience in public education gave somewhat negative assessments of qualifications, teacher training, and public education experiences, compared to the groups without public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analysis,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had two conflicting opinions that there was an environment that stimulated teachers' growth compared to public education, and that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grow due to the outflow of excellent human resources due to poor conditions. Interviewees emphasized the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 transformationality, spirituality and personality, calling consciousness, teacher professionalism, and interpersonal skills that integrate the Christian world view as necessary expertise and qualities for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The difficult elements of Christians' adaptation to the field are presented on an individual and school levels. Based on these findings, an applicable alternative was presented. |
키워드 | 기독대안학교, 교사 양성, 재교육시스템, 학습공동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