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경관해석의 성경적 틀 |
---|---|
영문 제목 | Biblical Framework for Landscape Interpretation Framework for Landscape Interpretation |
저자 |
김 농 오 (NongOh Kim) (국립목포대학교(Mokpo National University) 공과대학 조경학과 명예교수) 이 웅 규 (WoongKyu Lee) (백석대학교(Baekseok University) 관광학부 관광경영학과 교수) 이 창 훈 (ChangHun Lee) (국립목포대학교(Mokpo National University) 공과대학 조경학과 조교수) |
다운로드 |
008 신앙과 학문 25-4_김농오, 이웅규, 이창훈(페이지 211-226).pdf
(1.27 MB)
|
논문 구분 | 일반논문 | 공학
발행 기관 |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
발행 정보 | 제25권 4호 (통권 85호) |
발행 년월 | 2020년 12월 |
국문 초록 | 경관해석에서 현상학적 접근이나 노장사상은 과거 동양에서 주로 인식해 온 인간 소우주적 개념이다. 이는 인간과 자연을 분리된 실체로 파악해 온 종래의 기계론적 경관해석보다도 훨씬 인간 중심적인 경관해석이라 볼 수 있다. 동시에 하나님과 인간과의 자연을 분리해서 생각해 온 종래의 이원론적 철학 보다는 훨씬 성경적 해석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지나친 인간 중심적 경관해석에서는 인간 창조 이전에도 보기에 좋았던 자연경관 자체의 경관의 가치를 간과하기 쉽다. 이처럼 살아 있는 생명체(영, 靈)로서 인간이 인식할 수 없거나, 잘못을 인식할 수 있는 인식 과정에서 경관해석의 오류를 범할 수 있음을 지적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성경적 경관해석의 기본적 틀에 있어 ‘살리는 영’으로서 인간의 관점 으로 바라보는 만물의 실체와 천상 천국의 모형으로서 지상 세계에 대한 가치를 논함을 주장했다. |
영문 초록 | Phenomenological approaches and old-age ideas in landscape analysis are human microcosm concepts that have been widely recognized in the East in the past. This is a much more human-centered landscape analysis than the traditional mechanistic landscape analysis, which has identified humans and nature as separate entities. At the same time, it is much more like a biblical interpretation than the conventional dualistic philosophy of separating nature from God. However, it is easy to overlook the value of the natural landscape itself, which was good to see even before human creation, when it came to excessive human-centered landscape analysis. It was pointed out that these living creatures [Soul, 靈] could commit the error of landscape analysis in the recognition process that humans cannot recognize or can recognize mistakes. Therefore, this paper argued that the basic framework of biblical landscape analysis discussed the value of the earth world as a model of heaven and the reality of all things from the human point of view as a 'Saving Soul'. |
키워드 | 기독교적 세계관, 경관계획, 경관인식, 경관평가, 진화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