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기독교 학교 국내연구 동향 분석: 교육 공공성 요소를 중심으로
영문 제목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Christian Schools in Korea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the Elements of Educational Publicness
저자 임고운 (Kowoon Im) (한밭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 박사후연구원)
다운로드 pdf 5. 임고운 103-139.pdf (2.61 M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사회과학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29권 2호 (통권 99호)
발행 년월 2024년 06월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육 공공성을 교육이 추구해야 할 하나의 중요한 가치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국내 기독교 학교 연구 동향을 교육 공공성 측면에서 분석하고 향후 교육 공공성 실천을 위한 기독교 학교 연구의 방향을 모색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3년도까지 발표된 기독교 학교 관련 KCI 등재 학술논문 145편을 수집하였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한 기독교 학교와 관련한 교육 공공성 내용 요소 7개와 4개의 연구 시기를 준거로 설정하여 기초동향 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집한 논문의 제목, 주제어, 초록을 중심으로 총 649개의 데이터 전처리를 거친 키워드를 추출하였으며 네트워크 시각화 및 중심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학교 연구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사립학교와 관련한 시기별 국가 교육정책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독교 학교 연구는 일반적인 교육 공공성뿐 아니라 기독교적 교육 공공성에 해당하는 요소들을 두루 다루고 있으며, 후자의 빈도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독교 학교 연구의 키워드들은 다루는 범위가 제한적이며, 그 네트워크가 분산된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넷째, 기독교 학교 연구에서 ‘기회균등’ 및 ‘정의와 평화’ 요소는 적게 다루어지면서 현재보다 과거의 역할과 가치를 탐색하는 것에 더 집중되어 있었다. 다섯째, 기독교 학교 연구에서 ‘사회 통합’과 ‘소통’, ‘공적 신앙’ 요소는 주로 사립학교와 관련한 정책의 대응적 접근으로 다뤄지고 있었다. 여섯째, 기독교 학교 연구가 가장 관심을 둔 교육 공공성 요소는 ‘다양화’이며 이는 주로 대안학교 연구에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교육 공공성 관점에서 필요한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rends in researches on Christian school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publicness, considering it a crucial value in education. To achieve this, 145 academic papers on Christian schools, indexed in the KCI until 2023, were
colle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seven elements of educational publicness related to Christian schools and four research periods were established as criteria for analysis. Using basic trend analysis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649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papers’ titles, keywords, and abstracts, followed by network visualization and centrality analysi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researches on Christian schools show an overall increasing trend, influenced by changes in national education policies regarding private school. Secondly, researches on Christian schools addresses general elements of educational publicness and those specific to Christian educational publicness, with the latter appearing more frequently. Thirdly, the keywords in Christian school researches cover a limited scope and exhibit an overall dispersed network structure. Fourthly, elements like ‘equal opportunity’ and ‘justice and peace’ focus more on exploring past roles and values than current ones. Fifthly, elements like ‘social integration’, ‘communication’, and ‘public faith’ are primarily addressed responsively concerning private school policies. Lastly, the element of educational publicness that garnered the most interest in Christian school researches is ‘diversification’, mainly explored within the context of alternative school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Christian school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publicness.
키워드 교육 공공성, 기독교 학교, 연구 동향, 언어 네트워크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