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자료실

제목 21세기 기독교대학의 이념 – 칸트와 홈스를 넘어서
영문 제목 The Idea of Christian University in the 21st Century
저자 이국운 (Kukwoon Lee) (한동대학교 법학부 교수)
다운로드 pdf 01. 이국운 5-29.pdf (1.14 MB)
논문 구분 일반논문 | 세계관기초
발행 기관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발행 정보 제29권 4호 (통권 101호)
발행 년월 2024년 12월
국문 초록 이 글은 2025년의 대한민국이라는 시공간적 특수성을 전제하면서도, 가능한 한 그 제약을 뛰어넘어, 21세기 이후 기독교대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이념적 차원에서 제시해 보려는 시도이다. 저자는 대학이라는 제도의 기원을 신앙의 체계와 이성의 체계의 궁극적 양립을 지향하는 기독교적 낙관론에서 찾으면서, 대학의 실존 가능성을 그와 같은 기조를 위협하는 양극단의 도전에 충분하게 대응할 수 있는가에서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일단 로마 가톨릭교회의 보편 통치 아래서 중세 유럽 대학이 신앙과 이성의 역동적 균형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떠한 구조를 창설했으며, 그 구조가 서구의 근대 이후 어떻게 변형되었는지를 살피고, 그와 같은 변형을 대학 운동에 대한 위협으로 받아들이면서 이에 대항하기 위하여 임마누엘 칸트가 제시했던 대학개혁론이 어떠한 성과를 거두었고, 또 결과적으로 얼마나 왜곡되었는지를 탐색한다. 나아가, 20세기 중반의 시점에서 이른바 연구 중심의 ‘멀티버시티’(mutiversity)로 전락한 대학 운동의 현실을 정면으로 비판하면서, 특히 학부 대학 차원의 자유인문교양교육을 중심으로 새로운 기독교대학의 모델을 제창했던 아서 홈스의 기획을 재검토한다. 마지막으로는 2024년의 대한민국 또는 동아시아라는 시공간적 조건 속으로 돌아와 기독교적 낙관론에 입각한 대학 운동의 차원에서 칸트와 홈스의 디자인을 넘어서는 기독교대학의 새로운 전망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증하고 간략하게나마 그 이념을 제시한다. 이는 신앙과 이성, 초월과 세속 사이의 역동적 균형을 지향하며 21세기 대학 운동의 방향을 제안하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While presupposing the time-space specificity of Korea in 2025, this article aims to go beyond the constraints as much as possible and suggest the direction Christian university should move forward after the 21st century. The author seeks to find the origin of the university system in Christian optimism, which stems from the belief of the ultimate compatibility of the system of faith and reason, and tries to confirm whether it can adequately respond to the challenges of extremes that threaten such a stance. To this end, he searches what kind of structure medieval European universities created to achieve a dynamic balance of faith and reason and how the structure transformed after the modern era of the West under the rule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Moreover he explores the achievements of Immanuel Kant's theory of university reform and, as a result, how distorted it was, by reviewing the reality of the university movement, which has fallen into a so-called research-oriented “multiversity” at the mid-20th century. And he considers the suggestion of Arthur Holmes, who advocated a new Christian university model, especially focusing on liberal arts education at the undergraduate university level. Finally, he demonstrates the need for a new perspective of Christian universities beyond the design of Kant and Holmes in terms of the university movement based on Christian optimism.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21st-century university movement for a dynamic balance between faith and reason, transcendence and secularity.
키워드 기독교대학, 대학 운동, 대학의 기원, 대학의 역사, 대학개혁론, 임마누엘 칸트, 아서 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