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기독교 세계관의 관점에서 생활습관의학에 대한 모색과 제언 |
영문 제목 |
Searching for Lifestyle Medicine from a Christian Worldview |
저자 |
김지원 (Jiwon Kim)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교수, 보건복지대학원장)
|
다운로드 |
4. 김지원 83-104.pdf
(620 KB)
|
논문 구분 |
일반논문 |
세계관기초 |
발행 기관 |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
발행 정보 |
제30권 1호 (통권 102호) |
발행 년월 |
2025년 03월 |
국문 초록 |
본 논문은 생활습관의학의 내용과 특성을 살펴보고, 생활습관의학이 갖고 있는 기독교적 가치가 의료계의 문제를 해결할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국 의료계는 인간을 전인적인 존재로 바라보지 못하고, 과학주의라는 우상에 빠져있으며, 독점화와 권위주의, 의료 불평등 등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생활습관의학은 전인적인 관점에서 인간의 건강을 바라보고,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건강을 회복하도록 돕고, 전문가의 권위가 아닌 협력적 코칭을 통해 돕는 역할을 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면에서 생활습관의학이 한국 의료계가 갖고 있는 몇몇 문제들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활습관의학은 환자의 삶의 변화를 중요시하고, 의학 연구의 결과들이 값없이 주어지며, 생활습관의학 전문가들이 권위의 자리에서 내려와 환자 중심으로 협력하고 코칭을 하고, 사회적 관계를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에서 성경적이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생활 습관의학이 성경적 의학으로서의 가치를 갖고 있지만 영적인 삶의 변화와 하나님과 관계 회복에 대한 부분이 보완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생활습관의학 전문가들과 목회자가 협력한다면 전인적인 생활습관의학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초록 |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medicine and explores how its Christian values can address issues in the medical field. The Korean healthcare system often fails to view humans as holistic beings, is influenced excessively by scientism, and faces various challenges such as monopolization, authoritarianism, and medical inequality. Lifestyle medicine approaches human health from a holistic perspective, encouraging active patient participation in their recovery and providing support through collaborative coaching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expert authority. In this respect, lifestyle medicine may be able to address some of the issues present in the Korean medical community. Lifestyle medicine possesses biblical characteristics in the following ways: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hanges in the patient's lifestyle, freely shares the results of medical research, encourages lifestyle medicine experts to step down from positions of authority to work cooperatively and coach patients, and values social relationships. While lifestyle medicine has merit as biblical medicine,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its impact on spiritual life and the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with God. To address these gaps, collaboration between lifestyle medicine experts and pastors is suggested to develop a more holistic approach to lifestyle medicine. |
키워드 |
건강, 기독교 세계관, 생활습관의학, 전인건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