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기독교대안학교 교육성과 분석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
---|---|
영문 제목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ale for Educational Performance Analysis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
저자 |
조인진 |
다운로드 |
15권1호_조인진.pdf
(731 KB)
|
논문 구분 | 일반논문 | 교육학
발행 기관 | 신앙과 학문 (ISSN 1226-9425) |
발행 정보 | 제15권 1호 (통권 42호) |
발행 년월 | 2010년 03월 |
국문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학교와는 차별화된 기독교대안학교의 교육적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대안학교의 교육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로서 ‘기독교성’, ‘대안성’, ‘학교성’의 세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평가지표의 타당도 분석을 통하여 교육여건 영역에서 8개 요인에 31개 지표, 교육프로그램 영역에서 4개의 요인에 14개 지표, 교육성과 영역에서 4개 요인에 14개의 지표가 포함되었다. Cronbach''s α 계수를 통하여 문항의 내적일치도를 추정한 결과, 각 평가영역별로 교육여건 영역은 .955, 교육프로그램 영역은 .924, 교육성과 영역은 .910으로 각 영역별 신뢰도 계수는 신뢰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탐색적 요인분석 을 통하여 도출한 각 평가영역별 요인들이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고 적합도를 높이기 위해 다중상관자승(SMC) 값이 낮은 문항을 제거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구조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기독교대안학교의 교육적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수정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로 이념적 연구나 사례연구에 치중해 있던 기독교대안학교 연구에 있어서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 다양한 논의를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영문 초록 | The study aimed to develope the scale and framework for educational performance analysis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The first version of the framework established for this study was devised to consist of three main categories, ''christianity'', ''alternativity'', and ''schooling'', each of which included subcategories. The subcategories across the main categor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educational environment, program, and achievemen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program, and achievement were found to include 8 factors and 34 scales, 4 factors and 18 scales, and 4 factors and 17 scales respectively. As for the verification of these, their reliabilities of internal consistency were examined through Cronbach α, and they were concluded to be reliable with the coefficients .955, .924, .910 respectively. Meanwhile, as for their valid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as conducted and the scales indicating low values for Squared Multiple Correlation(SMC) were removed from the framework. These results enabled to suggest the revised version of the framework. Given that this study addressed research on the schools from analytic approach rather than their ideology or cas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bate and research on the schools. |
키워드 | 기독교대안학교, 교육성과 분석, 평가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