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독교세계관학술동역회 기관지
자동차, 인터넷, 스마트 폰 등 새로운 과학기술의 보급과 민주주의, 보편교육, 보편복지 등의 제도적 변화는 우리 일상생활의 모습을 많이 바꿔 놓았다. ‘코로나 19’라는 대재앙도 그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 한다. 가장 두드러지는 변화는 아마도 비대면 인간관계와 재택근무, 전자 상거래, 온라인 강의 등 거기서 파생되는 변화들일 것이다. 대부분 감염확산을 막기 위하여 어쩔 수 없이 요구되는 것이므로 지금은 불편하고 바람직하지 않고 따라서 ‘비정상적’(abnormal)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이런 상황이 어느 정도 지속되어 개인에게는 습관, 사회에서는 관습으로 정착되면 ‘새 정상’(new normal)으로 인정되다가 ‘정상’(normal)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추정한다.
물론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그런 변화가 실제로 일어날지, 그 정도가 어느 수준이 될지는 알 수가 없다. 비대면 관계에 대한 경험이 너무 나빠서 대면 관계를 더 선호하는 반작용도 일어날 수도 있다. 마스크와 사회적 거리두기를 폐지한 이스라엘에는 사람들이 옛날처 다시 모여 함께 즐기고 있다. 그러므로 비대면 문화가 정상으로 정착될지는 유동적이다.
그런데 교회에서는 비대면 인간관계가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2000년이 넘도록 대면 예배와 대면 교제가 정상이었고, 그 때문에 무수한 핍박도 받았으며 그런 핍박은 지금도 중국, 북한 같은 곳에서는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교회는 이 변화를 방관하고 따르기만 할 수는 없다.
비대면 문화가 과연 바람직하며 성경적인가에 대해서 먼저 한 번 따져보아야 하고, 바람직하지 않으면 저항해야 한다. ‘정상’(normal)이란 본래 주어진 ‘규범’(norm)에 맞는 것을 뜻했다. 그러나 문화가 세속화함에 따라 종교, 형이상학, 영원, 이성, 원칙 등에 대한 회의가 확산되고, 이제는 주어진 ‘규범’이 아니라 ‘다수가 하는 것’, ‘평균적인 것’이 ‘정상적인 것’ (normal)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그리스도인들도 이런 풍조에 동조하고 적응해야 할 것인가?
성경의 하나님은 관념이 아니라 ‘인격적’(personal)이고 그런 점에서 기독교는 모든 종교 가운데서 독특하다. ‘인격’(persona)이란 말은 그리스어로 ‘얼굴’(πρόσωπον, prosopon)이란 단어에서 유래했다 한다. 부버(Martin Buber)의 분류를 따르자면, 그런 하나님과의 관계는 ‘나와 그것’(Ich und Es)의 관계가 아니라 ‘나와 너’(Ich und Du)의 관계다. ‘그것’은 혼자서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인격적인 ‘너’는 ‘얼굴과 얼굴’로 만나야 한다. 그러한 하나님은 신학적 명상과 논증의 대상이 아니라 우선적으로 인격적인 믿음, 감사, 찬양, 기도의 대상이다. 하나님과의 관계는 비록 물리적이지는 않지만 원칙적으로 대면적이다.
물론 혼자서도 찬양하고 감사하며 기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성도들이 같이 모여서 예배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대면 예배라야 참 예배라고 주장할 근거는 없다. 그러나 비대면 예배는 오직 사람의 생명과 건강을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에만 한시적으로 허용되어야지 결코 정상적인 것으로 자리 잡아서는 안 된다.
예배보다 더 대면적이 되어야 하는 것은 성도의 교제다. ‘성도의 교제’는 사도신경에 들어 있을 만큼 기독교 신앙의 핵심적인 요소다. 물론 ‘교제’는 단순히 사람들끼리 만나서 대화하고 사귀는 것 이상인 영적이고 신비로운 연합이다. 그러나 영적이라 하여 실제적인 만남을 배제해서도 안 된다. 독창보다 합창에서 우리는 더 크게 감격할 수 있고 함께 봉사해야 더 활발하고 효율적이 될 수 있다. 다른 성도의 삶에서 자극과 교훈을 얻으며 다른 성도들의 감시와 격려로 신앙생활은 규모를 갖추고 힘을 얻는다. 성도는 가족과 같이 사랑 실천의 대상인 동시에 사랑의 주체다, 만약 교인들이 같이 모이지 않고 서로 만나서 교제하지 않았더라면 교회는 지금까지 존속하지 못했을 것이다. 하나님과 관계 못지않게 성도의 교제는 ‘나와 그것’ 아니라 원칙적으로 ‘나와 너’의 관계로 이뤄지고, 그것은 원칙적으로 대면적이다.
사실 인간의 본성이 사회적이고, 대면 관계가 사회형성의 기본이다. 만약 대면 관계가 없었다면 우선 언어가 생겨나지도 않았을 것이고, 언어가 없었다면 사고도 불가능했을 것이다. 물론 비대면적인 접촉이 없지 않고 불가능하지도 않지만, 그것은 대면적 관계를 전제로 한 임시방편이고 예외일 뿐 결코 대면 관계를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다. 벌이나 개미의 집단적인 활동은 개체가 가지고 있지 않은 능력을 발휘한다고 한다(swarm intelligence). 사람도 대면해서 평화롭게 대화하고 활동하면 개개인이 가지지 못하거나 발휘하지 못한 능력까지 발휘할 수 있다 한다. 흔히 말하는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도 대면적일 때 확실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어도 교회에서는 지금의 비대면 관계를 ‘코로나 19’ 때문에 생겨난 불가피한 비정상으로 취급해야지 ‘뉴노멀’로 자리 잡도록 해서는 안 된다. 비록 비대면 관계가 세상의 ‘뉴노멀’로 정착되더라도, 비록 어느 정도의 조정은 불가결하겠지만, 교회는 끝까지 대면 교제의 정답고 멋진 섬으로 남아 있어야 하고, 그렇게 될 때 오히려 교회는 세상이 부러워하는 색다른 공동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모이는 일을 그만 두지 말고, 서로 격려하여 그날이 가까이 오는 것을 볼수록 더욱 힘써 모여야”(히 10:25) 할 것이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취급방침 | 공익위반제보(국민권익위)| 저작권 정보 | 이메일 주소 무단수집 거부 | 관리자 로그인
© 2009-2024 (사)기독교세계관학술동역회 [고유번호 201-82-31233]
서울시 강남구 광평로56길 8-13, 수서타워 910호 (수서동)
(06367)
Tel. 02-754-8004
Fax. 0303-0272-4967
Email. info@worldview.or.kr
기독교학문연구회
Tel. 02-3272-4967
Email. gihakyun@daum.net (학회),
faithscholar@naver.com (신앙과 학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