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독교세계관학술동역회 기관지
20세기 기독교 세계관 철학자 중, 네덜란드의 헤르만 도여베르트(Herman Dooyeweerd, 1894-1977)는 가장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분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는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1920)가 정립한 성경적 세계관의 바탕 위에서 피조 세계를 가장 일관성 있게 설명하려고 시도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의 철학이 완벽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여러 면에서 그의 철학은 비판을 받았고 동시에 그의 제자들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 하지만 적어도 그의 사상은 반드시 한번 검토할 가치가 있다. 대가의 사상을 연구한다는 것은 곧 그가 씨름한 서양 철학 전체를 그의 눈으로 살펴보는 것이고 그가 기독교 철학자로서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살펴보는 가운데 우리에게도 성경적이면서도 비판적 관점들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필자는 기독교세계관학술동역회 기관지 <신앙과 삶>의 ‘온전한 지성’ 지면을 통해, 도여베르트의 기독교 세계관 사상을 5회에 걸쳐 간략히 나누고 있다.
도여베르트는 단순하고 구체적인 경험을 과학적이고 이론적인 사고와 분리했다. 전자는 구조적이고 이론적인 분석 없는 일상적 삶의 경험을 말하지만, 후자는 실체를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본다. 가령 연필 한 자루를 생각해 보자. 이것은 하나의 개체 구조로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을 양상 구조로 분석해 보면 전혀 다른 관점들이 나타난다. 가령 수적 양상으로 보면 이 연필은 한 자루이지만, 역사적 관점에서 본다면 이것의 역사에 관심을 둘 것이다. 사회적 양상에서는 연필의 사회적 기능이 주된 관심사이지만 경제적 관점에서 보면 이 연필의 가격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미적 관점에서는 이 연필의 디자인에 관심을 두지만, 윤리적 양상에서는 이 연필을 다른 사람이 훔쳐서는 안 됨을 강조할 것이다. 이렇게 양상 구조는 한 개체 구조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면들을 부각해 준다.
이러한 양상 구조는 하나의 학문을 절대화하는 환원주의(reductionism)의 위험을 가장 잘 비판할 수 있다. 즉, 모든 주의(-ism), 가령 역사주의(historicism)는 그 양상을 기원의 위치에 놓는 사상의 우상화라고 도여베르트는 예리하게 지적한다. 실제의 한 면만을 절대화하게 되면 다른 면들을 간과하게 되어 결국 전체적인 이해를 하지 못하는 오류에 빠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유물론이나 나치즘 같은 사상적 오류를 비판할 수 있는 효과적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뜻에서 도여베르트는 우리의 학문 활동이 결코 중립적이지 않으며 항상 종교적 전제에 의존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론적 사고로서 철학적 사고는 ‘의미의 총체성’(meaning- totality)을 지향한다고 정의한다. 이 지향의 방향성은 철학적 사고를 선행하는 인간의 자아(selfhood)에 의해 결정된다. 즉 모든 학문 활동은 인간에 의해 이루어지며 학문이란 각 실재의 양상에 담겨있는 창조의 법칙들을 재발견(re-search)하는 것인데, 이러한 활동들은 실재의 집중점인 의미의 통일성에 의하여 그 방향성이 좌우된다는 것이다. 아무리 탁월한 학문적 업적을 남긴다고 할지라도 그것을 사용하는 인간의 마음이 중요한데, 노벨이 평화적 목적으로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해도 타락한 인간은 이것을 살인적인 무기로 만들어 버리는 것이다. 도여베르트는 여기서 인간 존재의 종교적 뿌리 및 집중점으로서 ‘마음’의 중심적 의미를 강조한다. 이 마음은 결코 자기충족적이 아니며 항상 기원에 의존하며 이 기원에 대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응답할 수밖에 없고 이 반응이 어떠한가에 따라 학문의 방향성이 결정된다. 따라서 그는 사고란 의미를 부여하는 기원에 대한 끊임없는 추구라고 말하면서 내재적이고 인본주의적 철학을 강하게 반대한다. 즉 철학의 출발점은 철학에 내재하지 않고 그것을 초월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의미의 ‘역동적’ 성격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그의 양상 구조 및 개체 구조 이론만을 살펴보면 그의 철학이 매우 정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의미의 지향성 및 방향성 그리고 이후에 언급될 ‘개현 과정’(opening process) 이론과 시간관을 살펴보면 그의 철학이 매우 동적임을 알 수 있게 된다. 도여베르트와 쌍벽을 이루던 네덜란드의 유명한 기독교 철학자 반 퍼슨(C.A. Van Peursen) 교수는 바로 이 점이야말로 도여베르트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장점 중의 하나라고 인정했다. 의미의 역동성이란 항상 잠재성을 구현시키는 과정에 있는 사물의 양상 구조와 개체 구조의 상호 수평적 지향(referring) 및 수직적 표현(expressing) 운동을 뜻한다. 상호 수평적 지향이란 각 양상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나중에 나오는 양상들을 예측하는 면이 있는 동시에 이전 양상들을 회고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수직적인 역동성은 의미의 다양성이 의미의 통일성을 지향하고 다시 기원을 향한다는 것이다.
도여베르트는 이러한 동적 진행 과정을 ‘개현 과정’이라고 부른다. ‘개현 과정’이란 한 마디로 창조 속에 감추어진 모든 잠재성이 인간의 문화 활동을 통해 실현되는 것을 뜻한다. 가령 창조 시에는 에덴동산이 있었지만, 이것이 완전히 개현된 모습은 새 예루살렘 도성임을 알 수 있다. ‘동산에서 도시로’(from garden to city) 발전된 것이다. 물론 이러한 방향에는 타락으로 말미암은 부정적 개현도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바벨탑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그의 기독교 문화 철학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그에 의하면 진정한 문화 발전 및 개현은 창조주의 말씀(Wort)에 순종할 때에만 이루어지며 이것이 올바른 인간의 응답(Antwort, response)이다. 잘못된 응답을 하건 올바른 응답을 하건 인간은 응답하지 않을 수 없는 존재(we can not not respond)이며 모든 인간은 자신의 응답에 대해 책임(Verantwortlichkeit, responsibility)을 져야 한다. ‘책임’이란 어원적으로 따져보면 ‘응답 가능성’(response+ability)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인간의 삶 전체를 광범위하게 문화로 정의한다면 인간의 본질적인 면은 말씀하시는 창조주에게 ‘응답하는 존재’(Homo Respondens)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그의 인간관을 이해하는 데도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다음 호에 계속)
이용약관 | 개인정보 취급방침 | 공익위반제보(국민권익위)| 저작권 정보 | 이메일 주소 무단수집 거부 | 관리자 로그인
© 2009-2024 (사)기독교세계관학술동역회 [고유번호 201-82-31233]
서울시 강남구 광평로56길 8-13, 수서타워 910호 (수서동)
(06367)
Tel. 02-754-8004
Fax. 0303-0272-4967
Email. info@worldview.or.kr
기독교학문연구회
Tel. 02-3272-4967
Email. gihakyun@daum.net (학회),
faithscholar@naver.com (신앙과 학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