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독교세계관학술동역회 기관지
20세기 기독교 세계관 철학자 중, 네덜란드의 헤르만 도여베르트(Herman Dooyeweerd, 1894-1977)는 가장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분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는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1920)가 정립한 성경적 세계관의 바탕 위에서 피조 세계를 가장 일관성 있게 설명하려고 시도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의 철학이 완벽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여러 면에서 그의 철학은 비판을 받았고 동시에 그의 제자들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 하지만 적어도 그의 사상은 반드시 한번 검토할 가치가 있다. 대가의 사상을 연구한다는 것은 곧 그가 씨름한 서양 철학 전체를 그의 눈으로 살펴보는 것이고 그가 기독교 철학자로서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살펴보는 가운데 우리에게도 성경적이면서도 비판적 관점들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필자는 기독교세계관학술동역회 기관지 <신앙과 삶>의 ‘온전한 지성’ 지면을 통해, 도여베르트의 기독교 세계관 사상을 5회에 걸쳐 간략히 나누고 있다.
1965년 도여베르트가 자유대학교 교수직에서 은퇴할 때 <철학과 기독교>(Philosophy and Christianity)라는 제목의 기념 논문집이 그에게 헌정되었다. 이 논문집에 기고했던 스위스 출신의 철학자 리차드 크로너(Richard Kroner) 교수는 그의 논문에서 “이제 우리는 모든 철학적인 작업이 문화적 배경 아래에서 이루어지며 그 문화는 본질에서 종교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것은 약간 단순화한 느낌을 줄 수도 있지만, 종교, 철학, 과학 그리고 문화 간의 관계를 분석하려고 노력한 도여베르트 사상의 핵심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종교가 단순히 삶의 한 영역이 아니라 인간 생활 전체의 뿌리임을 강조하면서 도여베르트는 신앙적 전제가 모든 학문 활동 및 문화적 노력에 작용하고 있음을 증명하려고 시도했다. 이를 위해 도여베르트는 세 단계로 구분되는 기독교 철학 체계를 개발했다. 즉, 첫 번째 주저인 <법 이념 철학>(De Wijsbegeerte der Wetsidee)에 진술된 이론적 사고의 종교적 뿌리 발견, <이론적 사고의 신 비판>(A New Critique of Theoretical Thought)에서 형성된 이론적 사고의 선험적 비판, 그리고 <철학에서 개혁과 스콜라주의>(Reformatie en Scholastiek in de Wijsbegeerte)와 <갱신 및 반성: 개혁주의 근본 동인에 관해>(Vernieuwing en Bezinning: om het reformatorisch grondmotief)에서 요약된 서양의 사상 및 문화에 나타난 종교적 근본 동인이다.
도여베르트의 기독교 철학 배후에는 연구에 동기를 유발한 두 요소가 있는데, 그것은 ‘대화’(dialogue)와 ‘대립’(antithesis)이다. 카이퍼가 말한 기독교적 원리와 비기독교적 원리 간의 화해할 수 없는 대립 사상을 계승하여 성경적 근본 동인과 비성경적 동인들 간에는 분명한 대립이 있음을 그는 분명히 지적한다. 동시에 그는 그리스도인들과 비그리스도인들 간에 서로 대화하며 의사를 소통할 수 있는 공통적인 철학적, 학문적 사상의 공동체를 회복할 뿐만 아니라 유지하기를 원했다. 바로 이런 이유로 그는 첫 번째 주저를 수정, 보완하여 철학적 사고에 필요한 조건들 또는 전제들에 관한 탐구로서 이론적 사고에 대한 선험적 비판을 발전시켰다. 여기서 그는 철학이 의미의 총체성에 관한 탐구라는 점에서 출발하여 이론적 사고의 종교적 뿌리를 밝혔다. 하지만 이 철학의 정의에 대해 비기독교 철학자들이 동의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는 이론적 사고 자체의 분석에서 시작하여 선험적 근본이념을 통해 종교적 뿌리 및 기원으로 나아갔다. 여기서 그는 이론적 사고를 통한 학문적 지식이란 비논리적 양상들과 논리적 양상 간의 이론적 종합에 의해 획득되며 이것이 일어나는 곳은 인간 존재의 집중점인 마음이므로 학문의 주체는 인간이며 마음에서 학문적 지식이 성립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마음 또한 자충족적이 아니고 그 궁극적 기원을 지향할 수밖에 없어 이론적 사고도 종교적 전제를 갖지 않을 수 없다고 그는 본다. 이것이 그가 영어로 출판한 두 번째 주저의 핵심 내용이다.
도여베르트의 관심은 철학적, 학문적 영역에만 한정되지 않았다. 그는 이론적 사고의 선험적 비판과 함께 종교적 근본 동인이라는 사상을 발전시켰다. 그에 의하면 이런 기본 동인은 이론적 사고의 출발점인 동시에 문화적 발전 과정 및 방향까지 결정한다. 그는 이전에도 기독교적 문화관을 발전시켜야 할 필요성을 느꼈지만,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당시 유럽의 문화적 위기를 극복하고 그 발전 방향을 설정하려는 방법으로 이런 작업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그는 서양 문화의 원천적 뿌리를 드러내는 동시에 성경적 관점에서 현대의 세속화된 문화를 개혁하고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종교적 기본 동인 사상을 발전시켰고 이 동인으로 그는 서양의 철학 및 문화 전반에 대해 선험적 비판을 시도했다.
도여베르트는 희랍 철학 및 문화의 종교적 기본 동인을 ‘질료’(matter)와 ‘형상’(form)으로, 기독교적 동인은 ‘창조, 타락, 구속’으로 중세 철학 및 문화의 근본 동인은 ‘자연’(nature)과 ‘은혜’(grace)로, 근대 서구의 인본주의 철학 및 문화의 기본 동인은 ‘자연’(nature)과 ‘자유’(freedom)라고 진단한다. 여기서 그는 성경적 동인을 제외한 세 동인은 그 자체가 변증법적 모순을 필연적으로 내포하고 있어 이론적 사고 및 문화 현상에서 갈등과 문제를 피할 수 없음을 논증한다. 따라서 질료와 형상의 이원론적 종교 동인을 기반으로 한 고대 희랍 및 로마 세계는 계속 발전할 수 없었고 중세의 철학 및 문화로 대체되었다. 하지만 중세적 근본 동인도 희랍적 동인과 성경적 동인을 타협, 종합한 것이므로 결국 종교 개혁과 르네상스를 통해 근대로 넘어갔다. 그러나 인본주의적인 서양의 근대 철학 및 문화도 자연과학을 절대시하는 ‘자연’ 동인과 인간의 인격 이상을 강조하는 ‘자유’ 동인이 서로 화합하지 못하면서 갈등을 낳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현대 서양 문화의 위기라고 그는 진단한다. 이를 위한 해결책은 성경적 기본 동인으로 돌아가는 것밖에 대안이 없음을 그는 강조한다. 즉 모든 인본주의적 기본 동인에 의한 학문적 사고 및 문화 개현은 궁극적으로 진정한 조화를 가져오지 못하지만, 성경적 동인에 의한 학문과 문화의 발전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간다는 것이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취급방침 | 공익위반제보(국민권익위)| 저작권 정보 | 이메일 주소 무단수집 거부 | 관리자 로그인
© 2009-2024 (사)기독교세계관학술동역회 [고유번호 201-82-31233]
서울시 강남구 광평로56길 8-13, 수서타워 910호 (수서동)
(06367)
Tel. 02-754-8004
Fax. 0303-0272-4967
Email. info@worldview.or.kr
기독교학문연구회
Tel. 02-3272-4967
Email. gihakyun@daum.net (학회),
faithscholar@naver.com (신앙과 학문)